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현장심사 진행
페이지 정보

본문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현장심사 진행
지난 25년 6월 20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연안 생물교육관에 대해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현장심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대상 건축물로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연안 생물교육관으로 건축물인증 신축건축물부문 본인증을 진행한 건축물로 탄소중립건축지수(ZCBI) 103.23%를 달성하여 ZCB 1등급을 취득한 건축물입니다.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Zero Carbon Building certification)은 건축물의 전과정 탄소배출량과 탄소감축량(탄소저감/흡수/포집/상쇄)의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건축물의 탄소중립 성능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심사항목은 내재탄소와 운영탄소, 그리고 탄소감축량으로 나뉘며, 현장심사 또한 실물 기준과 설계도면 일치 여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현장심사 평가 항목
현장심사 시 평가하는 항목으로는 탄소의 감축량 부분에서 실제 사용된 저탄소자재 및 EPD자재에 대해 실제 시공이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하며, 고효율장비 및 신재생 부문에 대한 심사 또한 이루어집니다.
탄소배출량 중 내재탄소 항목에서는 고단열 창 및 문의 설계도면과 실제 시공된 창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토가 이루어졌습니다. 운영탄소 항목으로는 냉방, 난방, 급탕, 조명, 환기 시스템 전반에 걸쳐 고효율 설비의 적용 여부를 중점적으로 심사하였습니다.
탄소감축량에서 생산단계 항목으로 해당 건축물에 EPD 인증을 받은 석고보드 및 타일이 실제로 시공에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추가로, 천장 내 설치된 친환경 천장텍스가 EPD 인증 자재로 추정되었으며, 관련 인증서 제출을 통해 탄소감축량 산정에 반영이 되었습니다.
운영단계의 탄소저감 항목에서 신재생에너지 설비로는 PV 태양광과 BIPV 태양광이 설치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설비는 건축물의 옥상, 강당, 지붕, 벽면 등 다양한 부위에 적용되어있었습니다.
다만, PV 태양광 같은 경우 설치된 모듈에 대한 사양이 확인되었으나, BIPV 태양광 같은 경우 외벽 설치 특성상 관련 사양 확인이 어려워 납품확인서 제출을 통한 추가 보완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인증은 단순히 1등급 본인증을 취득했다는 의미를 넘어, 공공건축물에서도 실질적인 탄소감축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선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이 앞으로도 위 경험을 바탕으로, 친환경 설계와 기술이 공공건축 전반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이어가길 기대합니다.
- 이전글‘탄소중립건축 민간 인증제도’ 정책논의…‘더 이상 미룰 수 없다’ 25.07.16
- 다음글탄소중립건축인증(ZCB인증), 2025 한국전과정평가학회 발표 25.07.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